STUDY/전기회로

전기시퀀스 사용되는 기기 (수동조작스위치) #10

Atumi 2024. 2. 25. 21:53
728x90
반응형

■ 전기 시퀀스 수동 조작 스위치란?

수동 조작 스위치란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서 신호의 변환을 제어 장치에 주는 기구이다.

제작시 절연 내력, 전기적 수명 시험, 과부하 시험, 기계적 시험, 내부식성 시험등의 각종 시험을 거쳐서 기기를 제작한다

이러한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위치 또는 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각 위치나 상태에 따라 다른 전기적인 동작을 유도합니다. 이 스위치는 보통 기계적인 작동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며,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시스템이나 프로세스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전기 시퀀스 수동 조작 스위치는 제어 패널이나 컨트롤 패널 등에서 발견되며, 예를 들어 기계 작동이나 전원 배선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위치는 간단한 설계로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로 스위치

2로 스위치로 텀플러 스위치, 매입 서포트용 2로 스위치 등을 말한다.

단로 스위치

푸시버튼스위치(Push Button Switch)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접점 기구가 개폐되는 동작으로 전기 회로를 개로 또는 폐로 하는데 스프링의 힘으로 자동으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제어용 스위치를 말한다.

푸시버튼스위치는 직접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버튼 기구부와 버튼 기구부에서 받은 힘에 의해서 전기 회로를 개폐하는 접점 기구부로 구성 되어 있다.

 

(1) 푸시버튼스위치의 a접점

푸시버튼스위치의 a접점은 버튼을 누르지 않은 복귀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과 접점이 떨어져 있지만 버튼을 누른 동작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하여 폐로 되는 접점을 말한다.

푸시버튼스위치의 a접점

 

(2) 푸시버튼스위치의 b접점

푸시버튼스위치의 b접점은 버튼을 누르지 않은 복귀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이 접촉하여 폐로 되어 있지만 버튼을 누른 동작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떨어져 개로 되는 접점을 말한다

푸쉬버튼스위치의 b접점

 

(3) 푸시버튼스위치의 c접점

푸시버튼스위치의 c접점은 버튼을 누르지 않은 복귀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한 b접점부와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하지 않은 a접점으로 2개의 접점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버튼을 누른 동작 상태 에서는 b접점부는 개로 상태로, a접점은 폐로 상태로 변하는 스위치 이다.

푸시버튼스위치의 c접점

 

(4) 푸시버튼스위치의 색상

푸시버튼스위치에는 접점의 형식에 따라 1a1b접점 에서부터 4a 4b접점 까지 표준으로 제작· 판매 되고 있으며, 기능 별로 램프 내장형, 한시 동작형 등이 있고 모양에 따라서도 원형, 각형, 장방형, 버섯형 등이 있다. 또한, 색상에 따라 그 스위치의 기능을 분류하며 녹색, 적색, 황색, 백색 등이 있다.

 

토글스위치(Toggle Switch)

토글스위치는 핸들 조작에 의해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로서 전원 스위치로 사용한다. 돌출된 레버를 직선운동으로 동작 시켜 조작하는 것으로 보통 연결단자는 납땜형 또는 조임 나사로 접속하는 방법으로 되어있고 소용량의 전원 스위치로 사용된다. 토글 스위치 심볼은 개폐, 전환의 접점부를 투(Throw), 스위치의 개폐, 전환의 1 계통을 극(Pole)이라고 한다. 단극 단투(SPST)는 1극의 편절 접점 스위치, 2극 단투(DPST)는 2극의 편절 접점 스위치, 단극 쌍투(SPDT)는 1극의 전환 스위치, 2극 쌍투(DPDT)는 2극의 전환 스위치로 분류된다. 그리고 쌍투형 스위치로는 레버가 수평 위치에서는 OFF가 되는 것, 극수가 3극이나 4극인 토글스위치도 있다.

 

(1) 레버 각도와 명판도

레버 각도와 명판도

 

(2) 토글스위치의 a 접점

  • 스위치 레버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Off, 조작한 상태에서 On이 되는 접점을 말한다.

토글스위치의 a접점

 

(3) 토글스위치의 b 접점

  • 스위치 레버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On, 조작한 상태에서 Off가 되는 접점을 말한다.

토글스위치의 b접점

 

(4) 토글스위치의 c

  • 접점 무조작 상태와 조작 상태에서 접점이 전환되는 접점을 말한다.

토글스위치의 c접점

 

로터리스위치 (Rotary Switch)

로터리스위치는 접점부의 회전 작동에 의해서 접점을 변환하는 스위치 이며, 원주상 으로 접촉 단자를 배열하고 회전축과 연결된 중심 단자와의 접속으로 회로가 연결 된다. 감도의 전환이나 주파수의 선택등 측정기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접점 구성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있다.

로터리스위치

 

▣ 슬라이드스위치 (Slide Switch)

슬라이드스위치는 접점부가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으로 스위치를 고정 시키기 위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불이 내장 되어 있다.

슬라이드스위치

 

캠스위치(Cam Switch)

캠스위치는 캠의 작동에 의하여 접점이 개폐되는 스위치이며 여러 개의 단자를 이용할 수 있다. 캠과 접점을 하나로 구성하여 놋지(Notch)절환하는 것으로 전류계, 전압계 등의 절환용으로 사용한다.

 

(1) 회로 설명

캠스위치

 

①절환시 단락되는 시간

절환시 단락형 : 놋지 절환시 놋지의 단과 단사이의 중심부에서 개로 "OFF" 되는 접점 (단자번호 3,4번) 과 폐로 "ON" 되는 접점 (단자번호 5,6번)간에 단락되는 순간이 유지되는 회로이다. 예를 들어 놋지 2단에서 단자번호 3,4번과 놋지 3단에서 단자번호 5,6번간에 절환되는 순간 2단에서의 개로 "OFF" 되는 시간과 3단에서의 폐로 "ON" 되는 시간이 중복되는 순간을 구조로 조립되는 회로를 절환시 단락형이라 한다.

 

②잔류 접점 회로

잔류 접점 이란 : 놋지 3단 폐로 "ON" 에서 놋지 2단으로 자동복귀 됐을 때 접점이 계속 폐로 "ON" 상태로 유지되며 놋지 1단과 자동복귀된 놋지 2단 상태에서는 개로 "OFF"가 된다. 예를들어, 놋지 2단 (복귀된 자연위치)에서 놋지 3단으로 절환했을 때 단자번호 5,6번이 폐로 "ON" 되고 놋지 2단으로 자동복귀시켜도 단자번호 5,6번은 폐로 "ON"상태로 유지되나 놋지 1단으로 절환하면 단자번호 5,6번은 개로 "OFF" 되며 놋지2단으로 자동복귀되어도 단자번호 5,6번은 개로 "OFF" 상태로 유지된다.

 

(2) 동작 구성도 

 

 커버나이프스위치 (Cover Knife Switch)

나이프스위치란 핸들을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전로를 「개로」또는 폐로하여 조작하는 손을 떼어도 그대로의 개폐상태를 유지하는 조작스위치를 말하며 나이프 스위치처럼 전로의 개로나 폐로를 수동으로 하는 접점을 수동조작개폐기접점이라고 한다. 나이프 스위치는 전면에 베이크라이트 또는 도자기로 외피를 입힌 스위치로 전원의 상수에 따라 단상형, 삼상형으로 구분되며, 또한 형태에 따라 단투 커버나이프스위치와 쌍투 나이프스위치로 구분되고 밑부분에는 퓨즈가 부착되어 있다. 나이프 스위치는 주로 저압회로의 단로 및 부하전류의 개폐에 사용됨과 동시에, 배선용퓨즈와 조합해서 과전류를 보호할 목적에도 사용된다.

커버나이프 스위치

 

(1) 커버나이프스위치의 특징

  • 두선을 동시에 차단하는 스위치
  • 커버 안에 퓨즈가 있어 가정에서 합선이 일어나면 과전류가 흘러 회로가 차단된다.
  • 퓨즈 - 열에 약한 금속으로 만들어 규정 이상의 열이 발생하면 끊어진다.
  • 퓨즈가 끊어지면 정격의 퓨즈로 갈아 끼워야 한다.

 

(2) 커버나이프스위치의 구조

커버나이프 스위치 구조

 

(3) 커버나이프스위치의 종류

단투형

 

쌍투형

 

트리거스위치 (Trigger Switch)

슬라이드스위치의 일종으로 형상이 방아쇠와 유사하게 생긴 것으로 전기 해머 등 전동 공구나 전원 스위치로 많이 사용한다.

트리거 스위치

 

 전압절환용스위치 (Voltage Selectro Switch)

슬라이드스위치의 일종으로 사용 전압에 적당한 전압을 절환하는 스위치로서 특별한 경우에는 트랜스를 내장하는 경우도 있다.

수동조작스위치
전압절환용 스위치

 

파형스위치 (Rocker Switch)

파형스위치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일종으로 파형 손잡이를 누르면 스프링의 힘을 갖는 접점기구에 의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이다.

수동조작스위치
파형스위치

 

 비상스위치 (E-Stop Switch)

비상시 전 회로를 긴급히 차단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서 보통 적색으로 차단시는 눌러서 노크시키고 복귀시는 우측으로 돌려 복귀한다.

수동조작스위치
비상스위치

 

(1) 접점 구성도

수동조작스위치
비상스위치 접점 구성

 

발판스위치 (Poot Switch)

기계장치 및 회로의 동작을 발로 하는 것으로 발판부에 마이크로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발판부에는 동작 걸림장치가 있으며 발판 스위치 보호 커버가 부착되어 있다. 
발판스위치는 C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a 접점과 b 접점을 구분하여 사용 한다.

수동조작스위치
발판스위치

 

(1) 발판스위치의 모양 및 기호

수동조작스위치
발판스위치의 모양 및 기호

[마이크로스위치의 단자 기호 설명 ] 
표시명 영 문   명 칭 
COM COMMON 공통단자
NO NORMALLY OPEN 상시개로 
NC NORMALLY CLOSED 상시폐로 

 

정역스위치

전동기 기동용 스위치로 많이 사용된다. 전동기를 정역(正逆)으로 조작할수도 있으며 순서는 FOR(정회전), STOP(정지), REV(역회전) 순 이다.

수동조작스위치
정역스위치

 

(1) 내부결선

수동조작스위치
정역스위치 내부결선도

 

다른 내용 더보기

 

전기전자 Archives - Information Market

전동기(Motor) 전동기 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는 기계로 시동 및 운전이 용이하고, 부하에 적합한 기종을 선택하기 쉽고, 소음 및 진동이 작고, 배기공해도

dailybits.co.kr

 

반응형